교육&과학교육

2012 대한민국 창의과학축전(킨텍스)

다음민우 2012. 8. 17. 09:10

무려 1년 전 포스트를 지금에야... ㅎㅎㅎ (2013.8.3 9시 등록)

하지만, 날짜를 변경했더니 작년 날짜로 등록이 된다! 다음 블로그는 센스쟁이~ ^^

아뭏든 1년 전의 사진들이라 글을 쓰기엔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.. 최대한 기억을 살려서~


킨텍스에서 열린 2012년 대한민국 창의과학축전


효소로 그리는 그림. 영양분(녹말 등)이 섞인 한천겔을 만든 후 그 영양분을 분해할 수 있는 소화효소(아밀레이스)를 적신 종이 모양을 그 위에 몇분간 올려놓고 영양소를 검출하는 시약을 떨어뜨려 보는 실험.



회전 판을 이용하여 달의 위상을 알려주는 판...  천체 단원에서 흔한 이런 류의 실험은 실험도구의 이해가 있어야 되어서 좀 어렵다. ㅎ



뽑기 통이라고 하는 구형 플라스틱 통과 렌즈 등을 이용하여 눈 모형을 만들어 망막에 상이 맺히는 것까지 확인해 볼 수 있는 실험.

어떻게 보면 평범한 실험같지만, 의외로 중학생들이 잘 모를 것 같다. 특히 초점을 잘 맞추어 플라스틱 통 뒤에 상이 맺히는 것을 보면

아이들이 눈의 구조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, 재미있어할 것 같다.



기억은 나지 않지만 STEAM을 적용하는 것이 재미있어 찍은 것 같은데... -_-;;



이것도 아이디어~ 진동인형에 펜을 달아서 리사주 곡선같은 것을 만들게 한다.



예전에 신과람에서 봤던 방사선을 검출하는 상자를 체험해보는 실험이다.



불꽃반응 실험을 하도 다양하게 해서 관심이 갔던 실험. ^^



자석판에 LED를 여러개 붙여 우연의 효과에서 예술적인 것을 보는 실험



뫼비우스 고리의 3차원 버전(?)인 클라인 병.. 병의 안과 밖이 구분이 안된다!




이정도 실험이 관심이 갔던 것 같다. 운좋게 이 글을 쓰면서 2012 대축을 검색했더니 자료집 PDF파일이 검색되었다. ^^


2012대축_프로그램북_END.pdf


2012대축_프로그램북_END.pdf
7.11MB